♣광야에서 들려오는♣
사랑의 메시지[482]
2023. 5.29[월]
▶◀▶◀▶▶◀
▉합하고, 합치면▉
▉합치면 강하다.▉시너지효과란 두 사람 혹 세 사람이 합친 힘은 개별적으로 가진 힘을 합한 것보다 더 큰 힘과 효과를 내는 것을 뜻한다. “1+2=∞”로 표시할 수 있겠다.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합력”이란 단어를 헬라어로 “sunergeo”(수네르게오)라고 표기하며, 여기에서 “시너지”(synergy)란 말이 파생됐다. 즉, 여러 개와 모두의 힘을 합치면 강해진다는 뜻이다.
▉합치면 약하다.▉“백지장도 맞들면 낫다.”힘을 합치면 강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힘을 합치면 개인의 기여도가 떨어져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 독일의 링겔만이 발표한 것으로 이를 “링겔만효과”라 부른다. 그는 줄다리기에서 혼자 줄을 당기는 힘을 100 이라고 했을 때, 2명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개인이 발휘한 힘은 93%, 3명은 85%, 8명은 49%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했다.
▉합치면 위험하다.▉“계란을 한 바구니에 넣지 말라”미국의 경제학자 제임스 토빈이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직후 포트폴리오에 이론을 쉽게 설명해 달라는 기자의 질문에 답한 말이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았을 때 실수해서 떨어뜨리면 모든 깨지기 때문에 위험하다는 말이지만 모든 자산을 한곳에 집중 투자하면 위험부담이 크다는 뜻이다. 이후 이 말은 주식투자의 격언이 되었다.
▉합치면 못쓰게 된다.▉낡은 옷을 새 천으로 기우면, 새 천이 낡은 옷을 잡아당겨 찢어져 둘 다 못쓰게 된다.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넣어야지 낡은 부대에 담으면, 새 포도주가 발효 되어 낡은 부대도 터지고, 새 포도주 둘 다 못쓰게 된다. 옛 전통은 새 시대의 것을 담아낼 수 없다는 교훈으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뜻한다. “천동설과 지동설은 서로 다른 시대의 패러다임의 산물이다.”
▉합해지지 않는다.▉물과 기름, 양극과 음극, positive와 negative는 본질적으로 하나의 개념으로 합해해지 않는다. 하이데커는 “죽음은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는 순간, 삶과 함께 실존한다.”라고 했지만, 생명과 죽음이 가까이 있지만 서로 공존할 수 없다. 어두움 속에서 빛이 창조되었지만, 빛과 어두움 결코 합해지지 않는다. “하나님은 빛이시라 그에게는 어둠이 조금도 없으시다.”
◆“두 사람이 함께 누우면 따뜻하거니와”(전4:11)
◆다섯 남자를 선택한 클레오파트라(121)
◆https://www.youtube.com/watch?v=yq4RWwcKW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