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과 노동

♣광야에서 들려오는♣

사랑의 메시지[478]

  1. 5.1 [월]

▶◀▶◀▶▶◀

▉직업과 노동▉

▉직업(Beruf)▉독일어에서 직업은 “베루프”(Beruf), 영어에서 소명(call)은 동일하게 “부름을 입다.”란 뜻으로, 수동 형태를 띠고 있다. “직업”을 직역하면 “부름을 입다.”로, 하나님의 뜻에 따라 부름을 입어서 하는 일이 직업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막스 베버가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오늘날 자본주의가 발달한 배경에 칼빈주의가 공헌했다고 말한 이유이다.

▉노동(trabajo)▉노동이란 정신이나 몸으로 일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혹 직업이 없을 수 있지만, 노동을 하지 않은 사람은 거의 없다. 스페인어로 노동은 “트라바호”(trabajo)로, 이는 “세 마리의 말을 한데 묶는 것”이란 뜻을 갖고 있다. 즉, 일과 노동은 “힘들고 괴로운 것”이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대부분의 문명사에서 노동은 타의적인 활동으로 간주되었다

■아르바이트(Arbiet)■독일어에서 비롯된 “갈아 놓은 밭”이란 뜻을 가진 “아르바이트”는 이름과 같이 “힘들고 고된”것을 뜻하고 있다. 제 2차 세계대전 직후, 독일에서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휴학하는 대학생들이 늘어나자, 정부와 각 대학들이 학생들에게 부업이나 임시 일자리를 마련한 것이 오늘의 “아르바이트” 기원이 된 것이다. 한국에서는 줄임말로 “알바”란 말로 사용되고 있다.

■3D 직업■3D 직업이란 궂은 일(Dirty), 힘든 일(Difficult) 위험한 일(Dangerous)을 뜻한다. 유럽 최고명문가로 알려진 합스부르크왕가는 자녀들이 7-8세 되면, 3D를 몸에 익히는 가풍이 있었으며, 록펠러 가문 또한 자녀들에게 스스로 3D를 실천하도록 했다. 야곱의 대가족들이 낯선 이집트로 이민을 갔을 때에 오늘날 3D직에 해당하는 목축업을 주업으로 삼아 뿌리를 내렸다.

■노동관■종교개혁자 루터는 “모든 직업은 하나님의 소명이다.”라고 하였으며, 칼뱅은 “노동은 하나님의 은총에 대한 감사의 응답이다.”라고 했고, 막스 베버는 “직업의식과 소명에 충실했던 위그노들이 서구의 자본주의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라고 하였으며, 그리고 바울은 “누구든지 일하기 싫어하거든 먹지도 말게 하라.”고 노동을 적극적으로 강조했다.

◆“개미에게 가서 그가 하는 것을 보고 지혜를 얻으라(잠6:6)

◆유럽문화역사이야기(120)“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https://www.youtube.com/watch?v=IViztqM_dV0&t=9s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