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점으로 약점을 극복하다.

사랑의 메시지[473]

  1. 3.27[월]

▶◀▶◀▶▶◀

▉강점으로 약점을 극복하다.▉

▉코끼리▉코끼리의 상아는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싸울 때 등 유용하게 사용되는 도구이다. 코끼리의 상아는 1,000kg 정도의 물체를 들어 올리고, 운반할 수 있으며, 사자나 호랑이를 도살시킬 수 있는 강력한 무기다. 하지만 코끼리는 상아라는 보물을 지니고 있기에 다른 동물보다 빨리 죽임을 당할 위험이 많으며, 코끼리의 아름다운 상아는 종종 코끼리에게 재앙이 되곤 한다.

▉당나귀▉미국 민주당 상징이기도한 당나귀로부터는 배울게 많이 있다. 당나귀는 강한 체질과 대단한 지구력을 갖고 있다. 곧 쓰러질 정도로 많은 짐을 지고도 묵묵히 참고, 날씨가 덥든 춥든 개의치 않으며, 미련할 정도로 오로지 가야 할 길만 간다. 그런데 당나귀는 이솝우화에서 보여 주듯, 가끔씩 꾀를 부리는 약점이 있다. 짐이 조금이라도 무겁다 싶으면 곧잘 주저앉는다.

▉타조▉타조는 낙타와 비슷한 새라하여 붙어진 이름이다. 지혜자 욥은 새 중 가장 덩치가 크며, 학보다 더 큰 날개를 가졌으나 날지 못하는 약점이 있지만 속상하지 않는다고 했다. 타조는 시속 65Km 달리는 사자보다 훨씬 빠른 70Km로, 그를 추격할 적수가 없다. 눈알은 척추동물 중에 가장 큰 5Cm정도며, 시력은 독수리 6.0, 매 9.0인데 비해, 25.0 정도로 동물세계의 끝 판 왕이다.

▉수탉▉귀뚜라미, 늑대와 올빼미, 부엉이, 소쩍새 등은 주로 밤에 운다. 하지만 수탉은 아무 때나 울지 않고, 밤이 끝나고 아침이 왔을 때 운다. 수탉은 동물 중 잠자리에서 가장 먼저 일어나 만물을 깨운다. 시편기자와 김진홍목사님 표현대로 하면 “내가 새벽을 깨우리로다.”란 사명을 가진 셈이다. 그런데 수탉은 일부다처제로, 수탉끼리 모이면 시간 장소 불문하고 서로 싸운다.

▉까마귀▉때론, 까마귀가 건망증과 문맹의 상징으로 “까마귀 고기를 먹었나?”라고 말하지만, 까마귀는 고구려의 상징으로 추앙 받던 새다. 노아가 홍수 후 방주에서 날려 보낸 까마귀는 돌아오지 않았지만, 기근을 당한 엘리야에게 까마귀는 3년 6개월 동안 떡과 고기를 공급해 주었다. 이런 까마귀의 행동을 보시고 주님은 “까마귀를 생각하라.”라고 의미심장한 말을 남겼다.

◆“그는 우는 까마귀 새끼들에게 먹을 것을 주시며”(시147:9)

◆유럽문화역사이야기(117)“기독교를 공인한 밀라노 칙령”

◆https://www.youtube.com/watch?v=uETwJVHb7yw&t=7s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