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사유의 장미(13)

♣스페인문화역사tv에서 전하는♣ 사랑의 메시지[369]
2021.2.15[월]  ▶◀▶◀▶◀
▉베르사유의 장미(13)▉
https://youtu.be/NikjiKLj-EU

▉빌헬름 텔의 사과(9)▉스위스 독립의 상징, 빌헬름 텔의 사과가 세상에 널리 알려진 것은 1804년, 독일의 작가 실러가 오페라 빌헬름 텔을, 이탈리아 작곡가 안토니오 로시니가 가곡을 만들면서 빌헬름 텔의 사과이야기는 더욱 유명해 졌고, 스위스인들에게 국보급 고전이 되었습니다.

▉네덜란드의 풍차(10)▉네덜란드는 국토 약 4분의 1정도는 바다수면 보다 낮은 제방아래에 살고 있습니다. 비가 오거나 홍수가 나면 물을 퍼내야 했기에, 네덜란드의 풍차는 낭만의 상징이 아닌 생존이며, 기간산업이었습니다.

▉스페인의 풍차(11)▉세르반테스가 돈 키호테를 통해 말하려는 스페인의 풍차는 평화로운 마을의 상징이 아닌, 싸워 무너뜨려야하는 부조리와 사회 모순이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억압당한 서민들이 바라보고 견뎌야 하는 별과 이상이었습니다.

▉몽마르뜨의 풍차(12)▉화가의 길을 비춰 준 등대였고, 그림을 위해 가난을 택한 화가가 가야 하는 고지와 정상이었습니다. 기라성 같은 예술가들을 배출한 몽마르뜨 지금은 옛 흔적조차 사라지고 유흥업소 상징인 빨간풍차라 불리는“물랭루주”풍차만이 관광객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베르사유의 장미(13)▉
▉“주의 말씀은 내 발에 등이요 내 길에 빛이니이다.”(시119:105)▉“스페인 문화역사 tv”에서 볼 수 있습니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