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야에서 들려오는♣ 사랑의 메시지 [328]
- 5.11[월] ▶◀▶◀▶◀ ▉지도자들의 리더십▉
▉제갈량의 리더십▉중국 삼국시대 촉나라의 제갈량(181-234)은 지략가로 유비를 도와 촉한을 건국했다. 그는 확고한 신념을 지키고 책임을 지는 자와 비전을 공유한자를 등용하였으며, 적진에서 투항해온 자들까지 수용하여 화합과 통합의 리더십을 발휘했다.
▉칭기스칸의 리더십▉칭기스칸(1162-1227)은 세계사의 정복자들, 알렉산더, 나폴레옹, 히틀러가 정복한 땅을 합친 것보다 더 넓은 땅을 정복했다. 그는 “성을 쌓는 자 망하고 길을 닦는 자 흥한다.”라는 리더십을 가지고 “나라는 사람들의 마음을 얻어야 정복할 수 있다.”란 명언을 남겼다.
▉세종대왕의 리더십▉세종대왕(1397-1450)이 훈민정음, 해시계, 물시계, 측우기 등 조선왕조 역사상 가장 위대한 치적들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적소적재에 인재를 배치한 그의 리더십 덕분이다. 세종의 대표적인 용인술은 황의를 재상으로 18년, 정승으로 24년 등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순신장군의 리더십▉이순신 장군(1545-1598)은 지(智), 인(仁), 용(勇), 엄(嚴), 네 가지 덕목을 갖춘 리더로, “의인물용 용인물의”(疑人勿用 用人勿疑)로, 즉 “의심스러운 사람은 쓰지 말고, 일단 썼으면 의심하지 말라.”원칙을 가지고 인재를 등용했다.
▉다윗왕의 리더십▉셰익스피어는 참된 왕의 덕목으로 “정의, 진리, 절제, 확고함, 인내, 자비, 겸손, 헌신, 용기, 백절불굴, 비전, 용기 등 미덕을 갖추어야 한다.”라고 했다. 과연 이런 리더십을 가진 자가 있을까? 그러나 이스라엘의 2대 왕, 다윗(BC1107-1037))은 셰익스피어가 말한 대부분의 미덕과 함께 자신의 “과오와 허물”을 시인하는 겸손함도 있었다.
▉“다윗을 만나니 내 마음에 맞는 사람이라”(행13:22)
▉리더십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