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야에서 들려오는♣
사랑의 메시지 [315]
2020. 1.27[월]
▶◀▶◀▶◀▶◀
▉신발▉
▉왕의 신발▉ 고대 이집트 파라오의 신발바닥에는 지배한 나라와 정복할 나라들을 새겼는데, 이는 원수를 밟고 정복했다는 의미이다. 기원전 14세기 고대 이집트 18대 파라오, 투탕카멘왕은 금과 구슬, 정복자들을 새긴 신발을 신고 있었다. 왕의 신발은 힘과 권위를 상징했다.
▉노예의 발▉ 12세기 실크로드 상에서 3대 주요거래 품목은 노예와 황금과 그리고 소금이었다. 세 품목의 공통점은 서로 맞바꿀 수 있었다는 점이다. 특히 노예의 발 크기에 해당하는 소금을 제공하면 노예 한 사람을 살 수 있었다. 어떤 경우는 신발 한 켤레로 노예를 팔고 사기도 했다.
▉신데렐라의 구두▉ 디즈니사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신데렐라”는 어린들에게 최고의 환상이다. 구박받던 신데렐라가 신분 상승하게 된 것은 한 가지, 자신의 발이 구두에 딱 맞았기 때문이다. 디즈니사가 수동적인 여성상, “신데렐라 콤플렉스”를 만들었다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나의 신발▉ 우리가 취업을 위해 이력서(履歷書)를 쓴다. 대체로 이력서는 학력, 경력 등 돋보이는 내용을 골라서 기재한다. 그런데 “이”(履)는 신발을 뜻하는 것으로 이력서란 “신발을 신고 다닌 개인의 역사 기록”이란 뜻으로, 개인이 걸어 온 돋보이지 않는 것까지 포함하고 있다.
▉모세의 신발▉ 고대 로마사회에는 신분에 따라 신발이 달랐다. 그러나 노예는 신발이 없었다. 그런데 하나님은 모세에게 “네 발에서 신을 벗어라.”고 하셨다. 신발은 개인의 역사와 힘과 권위가 될 수 있지만, 높은 신분 앞에서는 나의 신발은 부족함과 허물을 드러내는 증거물이 된다.
▉“네 발에서 신을 벗어라.”(출3:5)
▉나의 신발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