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읽기 : 레 1: 1-17
- 책명 / 히“바이크라”, “그리고 그가 불렀다.”(1:1) 칠십인 역 / 레위티콘, “레위 족에 속한”
주제 / 우리 죄를 위한 희생의 제물 되신 예수 그리스도 (11:45)
특징 / 성결의 책 / 제사법, 성결법, 속죄규례, 서원규례, 생활규례 등이 있다.
- 목적 :레위기는 선민 이스라엘이 어떻게 하나님께 나아가 교제를 나눌 수 있는지를 가르쳐 주며, 제사를 통해 범죄 한 인간이 거룩한 하나님을 가까이 할 수 있는가를 교훈하고 있다.
하나님과 택한 백성 사이의 교제는 오직 대제사장 되신 예수 그리스도의 중재와 제사를 통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창세기는 인간의 타락, 출애굽기에는 인간의 구속, 레위기는 구속받은 성도의 예배를 기록하고 있다.
- 내용분해
1)각종 제사규례(1:1-7:38) : 2)제사장 성결규례(8:1-10:20) :
3)각종 정결 규례(11:1-15:53) : 4)속죄 제사규례(16:1-17:16) :
5)백성의 성결규례(18:1-20:27) : 6)제사장 성결규례(21:1-22:23) :
7)각종 절기 규례(23:1-24:23) : 8)가나안에서 지킬 규례(25:1-26:46) :
9)서원의 규례(27:1-34) :
- 5대 제사
1)번제 : (1)번제의 제물 : 가축 / 소, 목축 / 양, 염소, 조류 / 비둘기(1:3,10,14)
(2)번제의 목적 : 하나님과 화평, 죄의 용서(1:3,4)
(3)번제의 특성 : 번제는 완전히 불살랐다. 이것은 완전한 희생을 강조한다. (레16:21,22)
2)소제(피 없는 제물 소제) :
소제는 그리스도의 피로 구속함을 받은 자가 드릴 헌신을 가르치는 제사이다.
소제의 4가지 재료 : 고운 가루 / 기름 / 유향 / 불
3)화목제 : 하나님과의 화목을 위한 제사 (감사제 / 서원제 / 자원제)
4)속죄제 : 속죄제는 하나님께 부지중, 실수로 지은 죄를 용서받기 위한 제사(레4:13,22,27)
제사장의 죄 / 흠 없는 수송아지 / 온 회중 / 수송아지를 드림 / 족장 / 흠 없는 수 염소
평민 / 흠 없는 암염소 / 가난한자 비둘기나 고운 자루 에바 십분 일
5)속건제 : 속건제는 사람 상호간에 관련하여 죄를 범했을 때 드리는 제사이다.(20:20, 21)
- 7대 절기
1)7대 절기 : 유월절, 초실절, 무교절, 칠칠절, 나팔절, 대 속죄일 초막절
23장은 “절기 장”으로 불린다. 이스라엘의 7개 절기를 “여호와의 절기”라고 칭하고 있다.
2)특징 : 모든 나라의 절기는 “사건”이 일어 난 후 “절기”가 제정된다. (예, 8.15 광복절)
하지만 이스라엘의 절기는 하나님께서 먼저 절기를 정하시고, 그 절기에 맞추어 하나님께서 특별한 사건을 일으키신 것이다.
유월절을 예로 들어보자. 하나님은 유월절을 미리 정하신 후 장자들의 재앙을 일으켰다.
7대 절기의 제정자가 하나님이며, 이스라엘의 절기는 이스라엘 민족의 풍습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각 절기는 하나님의 구속사적 관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유월절은 그리스도의 죽음을, 무교절은 그리스도와의 친교, 초실절은 그리스도의 부활, 칠칠절 (오순절)은 그리스도와 성령님의 임무교대를, 나팔절은 그리스도의 강림을, 대 속죄일은 그리 스도의 속죄를, 초막절은 그리스도의 심판을 각각 상징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