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전만 해도 세상에서 늙어 노인이 되기를 희망했던 곳이 한국이라고 하였습니다. 고종 황제 사신을 했던 미국인 헐버트는 “이 세상에서 노인 복지가 가장 완벽한 나라가 조선이다.” 라 했고, 최초의료 선교사인 알렌도“이 세상에서 가장 죽는 것이 두렵지 않는 노인 천국이 한국”이라 극찬하였습니다. 이 같은 사실은 몇 가지 문헌만 보아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째, 과거 부모는 아침에 일어났을 때나, 저녁에 잠들 때에 아들 며느리로부터 문안을 받았습니다. 둘째, 햇과일, 생선 중간토막, 맛있는 음식은 반드시 부모에게 드린 후에 가족이 나누어 먹었습니다. 셋째, 가게 권을 상징하는 뒤주 열쇠와 안방은 죽을 때까지 맏며느리에게 이양하지 않았습니다. 넷째, 문중은 물론, 남일지라도 출타에서 돌아오면 마을 노인에게 인사를 드렸습니다. 다섯째, 길에서 노인을 만나면 걸음을 멎고 반드시 인사를 하였습니다.
여섯째, 잔치가 있으면 연고가 없더라도 반드시 마을 노인들을 모셔서 상석에 앉혀 대접하였습니다. 일곱째, 마을에서 돼지나 소를 잡으면, 건강에 좋다는 내장을 노인들에게 등분하여 보내 드렸습니다. 여덟째, 회갑이 되면 고을 현감이, 고희가 되면 감사가, 백세가 되면 임금님이 옷가지들을 내려 치하했습니다. 동서고금에 이렇게 노인을 우대한 나라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이 시대는 좋은 미풍 양속이 사라져 버렸을 뿐 아니라, 노인들이 오히려 천대를 받는 시대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