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계론-예레미야
제 24 과 : 구약개론 : 예레미야 1: 1-10 2018. 4. 18(수)
- 표제 : “예레미야의 말이라”(렘 1:1)(겔1:3; 호1:1; 욜 1:1) 2. 저자 : 예레미야(렘36:4,27, 28, 32)로, 바룩은 책 자료를 수집하거나 기술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 예레미야의 비서로서 그의 위치를 암시하고 있다. 3. 역사적 배경 : 예레미야 초기는 앗수르, 애굽, 바벨론 3대 세력이 투쟁하고 있었다. 예레미야는 유다가 왕국으로 존재한 마지막 40년 간 5왕(요시아, 여호아하스, 여호야김, 여호야긴, 시드기야) 에게 개혁을 촉구했다. 각 치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요시아(640-609B.C.) / (2)여호아하스(609 B.C.)
(3)여호야김(B.C. 609-598) / (4)여호야긴(598-597 B.C.) (5)시드기야(597-586 B.C.) / (6)그다랴
- 주제 : 예레미야는 진실한 선지자였다. 그의 외침들은 형식적인 것을 떠나 참된 마음을 갖고 하나님께 돌아오라는 것이었다. 그는 부패함의 근원은 악한 마음에 있으며(렘17:9), 새로운 심령과 새로운 의지와 새로운 영이 없으면 사람에게 선행이 불가능하다고 가르쳤다.(렘 13:23)
다른 선지자와 같이 예레미야도 외국과의 동맹에 빠져 들어가는 것을 반대하여 경고하였다.(렘 2:36)그는 반역은 국가의 패망을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하였으며, 당시 불가피한 상황을 뛰어넘어 하나님에 대하여 “진실함을 드러낼 것”을 외쳤다.
그들에게 두 가지 과제는 국론 분열에서 재통합과 연합을 강조하였으며, 아울러 하나님의 백성으로 회복이었다. (렘 32:37-41) 예레미야 또한 메시야가 유일한 소망이며, 메시야가 다시 하나님의 나라를 회복하게 될 것을 소망하도록 하였다.(렘 31:31-34, 33:14-17) 5. 개요 1)선지자의 부르심과 임무 1:1-19 /
2)유다의 죄악에 대한 기록과 고발 2:1-37 3)불충실한 이스라엘 백성들을 돌아오라고 부르심 3:1-4:4 4)침략하는 국가로 인한 심판 4:5-6:30 /
5)성전에 관한 논술 7:1-10:25 6)언약을 선포함 11:1-13:27 /
7)예레미야의 개인적인 경험들 14:1-16:9 8)유다의 재난의 원인들과 위로의 기별들 16:10-17:18 9)안식일 준수에 관한 권고 17:19-27 /
10)그 나라의 멸망에 대한 상징들 18:1-19:13 11)예레미야가 박해를 당함 19:14-20:18
12)유다의 대중 및 영적 지도자들에 대한 고발 21:1-24:10 13)심판에 대한 예고 25:1-38 / 14)자칭 선지자들과의 투쟁 26:1-29:32 15)회복에 관한 예언들 30:1-33:26 / 16)유다의 불충성과 형벌 34:1-35:19 17)전기적이고 역사적인 서술들 36:1-45:5 (1)예루살렘의 황폐 이전의 사건들 36:1-39:18 (2)예루살렘 황폐 이후의 사건들 40:1-44:39 (3)바룩에 대한 주님의 약속들 45:1-5 18)이방 나라들에 관한 예언들 46:1-51:64 19)역사의 부록 52:1-30